프로젝트 관리/github(7)
-
메타코딩 -무작정 깃허브 찍먹하기 -7- (혼자서 개발할때.st)
드디어 이론적(?)인 깃사용법은 끝났고.. 혼자서 개발한다는 설정으로 git을 한번 사용해 보자. 사실상 혼자서 토이프로젝트를 하거나 공부용으로 한다고 생각하면 master branch만 있으면 된다.. 킹치만 실제 서비스를 하는 앱이나 어플을 만들떄는 master, dev, topic 처럼 branch를 최소한 세 개쯤은 만들어 놓고 시작을 한다. 할 것은 1. 환경설정, 2. 회원가입, 3. 로그인, 4. 글쓰기 이렇게 만든다고 생각 해 보자. 우선 github에 New repository를 만들어 주자. Name은 blog-alone 그리고 Add a README file에 체크를 해주자. 그러고 Create repository 클릭 그 Add a README file 체크 안해주면 origin에 ..
2023.03.10 -
메타코딩 -무작정 깃허브 찍먹하기 -6- (Github 초보 기본기 & Remote 브랜치 이해)
저번 5번째 글에 이어서 ex10폴더를 사용해서 기본기를 체험해 보자. ex10.company 폴더의 myapp으로 가보자. 우선 회사에 출근해서 일을 하다가 회원가입 기능을 만들었다고 치자.. 회원가입.txt 파일 생성 후 add & commit 하고 git push를 해서 git server에 올려주자.. 그러고 퇴근을 한 상황.. 이제 뭘 하고싶냐 하면.. 집에 가서 로그인이라는 기능을 이어서 하고싶다. 그러면 ex10.home 폴더로 들어오면 처음에 프로젝트설정 하나밖에 없을 것이다. 회사에서 하던 소스를 다운받아 와야 하니 먼저 git pull origin master를 해서 회사에서 하던 소스를 다운받자. 그 후 이어서 로그인.txt를 생성 후 add & commit 후 git pusg ori..
2023.03.03 -
메타코딩 -무작정 깃허브 찍먹하기 -5- (Github push & pull 및 github clone 해보기)
이번 시간에는 Github를 배워보자. 배우면서 remote라는 명령어가 있는데 같이 배워보자. 우선 github홈페이지로 가서 신규 repository를 myapp 이라는 이름으로 생성 해 주자. (모르겠다면 찍먹 1탄에 기록되어 있음..) 지금까지 어떤 상태인지 그림으로 간단하게 알아 보자. 현재 다른 사람의 컴퓨터가 있는데 그것은 깃헙컴퓨터이고, MS사 것이다. 해당 컴퓨터 안에 myapp이라는 폴더가 만들어 졌다. 해당 폴더로 접속 가능한 주소가 분홍색으로 적혀 있는 것이고, 이런 형식으로 본인 컴퓨터가 아닌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나의 저장소를 들고 있는 것을 클라우드 저장소 라고 부른다. 특이한 것은 그냥 저장만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아닌 분산버전관리가 가능한 것을 말한다. 현재 클라우드 저장소..
2023.03.01 -
메타코딩 -무작정 깃허브 찍먹하기 -4- (Git Merge 실습 및 rebase로 로그관리)
우선 gitworkspace에 ex05 폴더를 생성하고 git을 생성하자. touch라는 명령어는 파일 생성 명령어다. 반대로 삭제 명령어인 rm이 존재한다. 캡쳐와 같이 회원가입, 로그인 폴더를 생성 add, commit 해 주면 되겠다. 이제 여기서 하고싶은게.. 아이디 중복체크를 만들고 싶은데.. main branch에다가 해도 되지만 topic이라는 브랜치를 만들어서 거기다가 해주자. 처음 git branch명령어를 입력 해 보면 현재 브랜치의 목록이 나오고, git branch 브랜치명 을 입력하면 새로운 브랜치가 생성 된다. git log를 확인 해 보면 head 로그인 쪽에 master, topic 브랜치 포인터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면 git checkout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해..
2023.02.22 -
메타코딩 -무작정 깃허브 찍먹하기 -3- (Git branch 기본개념 및 브랜치 포인터 개념)
우리가 커밋을 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main branch가 하나 생기게 된다. 요런 식으로 그러면 시나리오를 하나 만들어 보자. 내가 만약 블로그를 만드는 중인데. 1.회원가입 2.로그인 순으로 커밋을 했다고 생각 해 보자. 위의 그림처럼 순차적으로 브랜치가 생성되고 헤더도 가장 최근 커밋을 바라보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회원가입 로그인을 만들고 나니까. 꼭 해보고싶은 아이디어가 있다. 아이디 중복체크를 가지고 하자~ 또는 하지말자 ~ 라고 의견들이 나오는데.. 그러면 아이디어 branch라는 새로운 가지를 하나 만들고, 로그인의 끝점을 그대로 가져온다. 그렇게 되면 아이디어 branch는 회원가입과 로그인에 대한 모든 history를 다 들고 있는 branch이다. 엄밀히 따지자면 새로운 가지는 아..
2023.02.21 -
메타코딩 -무작정 깃허브 찍먹하기 -2- (Git Reset, Reflog or Git 최종 로그변경하기)
전 기록에 이어서 되돌리기 명령어를 사용해 보자. 위 처럼 c:drive에 만들었던 gitworkspace의 폴더에 ex03폴더를 생성 후 git bash CLI를 키고 git init후 test1, 2 파일을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만든 후 git add . 를 한 후 커밋을 해 준다. 그러고 깃 로그를 확인 해 보자. 이런식으로 헤드에 저장이 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그런데 2번째 커밋으로 들어 간것이 깃로그가 마음에 들지않는다. 오타가 생겨서 잘못 들어갔다. 그러면 이제 로그를 복구하고 싶을때가 이런식으로 생기는데... 이 것을 복구하는 명령어는 git reset이라는 것인데. 해당 명령어에는 옵션이 세 가지가 존재 한다. 알아보자~.. reset이라는 명령어의 옵션에는 soft, mixed, ..
202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