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잡담(6)
-
한국 유통게임 심의관련
한국인 이면' 국내 게임 심의를 거쳐야 하는 거임? 아니면 '한국 법인' 이면 심의를 거치는 거임? 만약 '수익이 어디로 가느냐' 가 기준이라면 한국인이 외국인 통장에 수익 가게 꽂아 놓고 개발하면 국내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건가? 구글 깡계정 파서 페이팔에 수익 가도록 꽂아 놓고 붕 띄워 놓으면 국내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 건가? 요약하면 국내 심의 안 거치는 법 없음? *답변 '한국에 유통되는 게임'이면 받아야 됨. 그 기준은 '국내 전용 결제 수단과 한국어를 지원하는가'이고. 심의 받기 싫으면 한국어 지원 안 하면 됨.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국내에 유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게임물은 등급분류를 받아야 함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1조(등급분류) ①게임물을 유통시키거나 이용에..
2024.04.21 -
법인사업자 팁
법인사업자 개설 1년 이후, 4대보험 적용 기준 직원 1명당 최소 1,800만원 이상의 매출을 발생 시킬 것. 미달 시, 각종 정부 지원 및 혜택에서 제외될 수 있음. 매출이 없을 경우 직원을 늘리는 것은 주의해야 함. 단!! 창업 후 1년 미만에는 매출 발생 의무가 없으므로 혜택을 다 당겨 받아야 함, 1년이 지난 후 매출 없는 기업은 경쟁에서 뒤쳐지고 혜택도 거의 다 소멸함. 매출이 없어도 지원을 받을 수 있긴 하나, 상부조직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게임 개발사는 콘텐츠 진흥원을 제외하고 대학 및 어떤 정부기관과 붙어도 불리함. 매출이 없는데 1년이 지나면 기관 투자, 벤처캐피탈, 은행과도 담을 쌓아야 함. 2년이 지났다? 암울해짐. 3년이 지나면 초기 기업이 아니게 됨. 폐업 후, 신규 법인을 만..
2024.04.21 -
법인사업자로 게임 출시 준비하기 - 1편 (feat.비용)
이번 게임 출시 준비하면서 법인사업자를 준비하고 있는데 재밌는 상황?이 많아서 공유하려고 해 (비용도 함께 적음) 먼저, 법인사업자는 개인사업자와 다르게 쉽게 나오지 않아 개인사업자는 특별한 조건없이 가능한데 법인은 아래 순서대로 진행하면 돼 1. 사무실 구하기 2. 법인 등기 준비 3. 법인 등기 4. 법인사업자 + 5. 법인 통장/카드 개설 6. D-U-N-S 발급 7. 통신판매업 발급 8. 홈페이지 개설 9. 구글 계정(기업) 10. 애플 계정(기업) 1인 셀프 법인 만드는 경우도 있는데 정관이라던가 여러가지 명확한 기재를 위해 법무사를 통하는게 좋아 (사무실 이전이나 조금의 수정도 정관을 바꿀때마다 비용 들어감) 1. 사무실 구하기 사업이 잘되면 좋겠지만 고정 비용을 생각한다면 비상주로 구해두는게..
2024.04.21 -
쓸만한 사이트
https://soundeffect-lab.info/ 効果音ラボ - 商用無料、報告不用の効果音素材をダウンロード 2400音以上の音源を掲載したフリー効果音サイト。品質にこだわっており、テレビなどのプロの音響現場でも使われています。 soundeffect-lab.info royalty free sound site
2023.11.18 -
내가 생각하는 개발자로서의 재능
1. 오랫동안 말 없이 앉아서 모니터를 볼 수 있는 능력. 2. 천성이 사고를 논리적으로 하는. 3. 답은 있지만 아리송한 문제 해결을 즐기는. 모르면 배워서라도 해결할려고 하는 집요함. 오기가 있다고 말할수도 있겠네요. '이거 내가 반드시 해결하고 만다' 이런 거? 4. 실력 상승에 대한 욕구가 강한 5. 장인 정신이 있는 ( 남의 기준이 아닌, 자신의 기준으로 일을 하는 ) 자신이 맡은 일을 단순 일을 넘어서, 자신의 작품 혹은 자기것을 만들 듯 일을 하는? ( CEO 입장에서는 더 없이 고마운 ) 6. 원활한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2021.11.29 -
잘 정리된 페이지
1. https://velog.io/@emawlrdl/Spring-project-%EC%A0%9C%EC%9E%91-%EA%B3%BC%EC%A0%95-8yk5n8bogp Spring project 제작 과정 ( CRUD 기능구현 예제) 먼저 개발 환경을 설치하여야 한다. 툴 : Spring Tool Suite 3.9.5 (이클립스) -> 이클립스 상단매뉴 Help -> MarketPlace -> STS 설치.. WAS(Web Application Server) = 아파치 톰캣 was에 대한 설명 참조 : https://gmlwjd9405.gi velog.io 구체적인 제작과정이 잘나와있다. 2.https://1004lucifer.blogspot.com/p/jqgrid-document.html [Docume..
2021.10.20